본문 바로가기
4대보험

4대보험 매월 납부금액 간단하게 계산하는 방법

by 유즈풀-iNFO 2023. 6. 2.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에서는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곤 대부분 4대보험 가입의무가 있습니다. 이 경우 급여가 바뀌거나 직원을 새로 채용할 경우 4대보험을 얼마를 납부해야 하는지 헷갈리실 수 있는데 보험 요율과 함께 간단 계산법을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4대보험-매월-납부금액-간단하게-계산하는-방법-설명

 

 

4대보험 보험료 요율

○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월소득의 9%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부해야 하는데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4.5%씩 분담하여 납부하면 됩니다.

구분 보험료 사업주 근로자
월소득 월소득 X 9% 4.5% 4.5%

월소득 하한액은 35만원이고 상한액은 553만원으로 월소득이 하한액보다 적으면 35만원을 기준으로 적용하고, 553만원보다 많을 경우 553만원을 적용하면 됩니다. (2022년 7.1 기준)

 

 건강보험

 

건강보험료는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 두가지로 나뉘며 건강보험료는 월소득의 7.09%를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3.545%씩 분담하여 납부하면 됩니다. 

 

장기요양보험료의 경우 건강보험료의 12.81%를 사업주와 근로자가 절반씩 분담하여 납부하면 됩니다.

구분 기준 사업주 근로자
건강보험료 월소득 x 7.09% 3.545% 3.545%
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료 x 12.81% 50% 부담 50% 부담

 

 고용보험

 

고용보험은 실업급여에 대한 부분과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 개발사업을 위한 부분에 대한 보험료로 구분됩니다. 또한 사업장의 규모(근로자수)에 따라 요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실업급여 부분의 경우 월소득의 0.9%를 근로자와 사업자가 각각 부담하게 되고,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 개발사업을 위한 부분의 경우 규모에 따라 다르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구분 근로자 사업주
실업급여 0.9% 0.9%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 개발사업 150명 미만 - 0.25%
150명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
- 0.45%
150명 이상 1,500명 미만 - 0.65%
1,000명 이상, 국가·지방자치단체 - 0.85%

 

 산재보험

 

산재보험료는 (월소득 x 보험료율 ÷ 1,000)의 산식에 따라 계산하면 됩니다. 다만 업종에 따라 산재발생의 빈도 및 강도가 달라 요율이 천차만별입니다.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업종별 산재보험료율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3년_산재보험료율표_다운로드.pdf
1.61MB

 

 

4대보험 보험료 계산하기

 

산재보험을 계산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엑셀로 서식을 만들어 놓으시면 간단하게 계산하실 수 있으나, 매년 기준이 변경되기 때문에 잘못 계산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매년 변경되는 기준과 법에 맞추어 계산할 수 있는 모의계산기가 있으니 간편하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사진을 통해서 모의계산기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4대보험-납부금액에-대한-모의계산기

 

 

4대보험 보험료 계산 예시

 

근로자수 150명 미만의 사업장을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산재보험의 경우 업종마다 요율이 다른 점을 감안하여 제외하였습니다.

구분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포함)
고용보험 합계
200만원 사업주 90,000원 79,980원 23,000원 192,980원
근로자 90,000원 79,980원 18,000원 187,980원
300만원 사업주 13,5000원 119,970원 34,500원 289,470원
근로자 13,5000원 119,970원 27,000원 281,970원
400만원 사업주 180,000원 159,960원 46,000원 385,960원
근로자 180,000원 159,960원 36,000원 375,960원
500만원 사업주 225,000원 199,950원 57,500원 482,450원
근로자 225,000원 199,950원 45,000원 469,950원

 

 

결론

4대보험에 해당하는 각 보험마다 정해진 요율과 납부 비율이 정해져 있으니 셀프 계산 시 이를 활용하시면 되고, 간단하게 모의 계산을 하고자 할 경우 위의 링크를 통해 모의계산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산재보험의 경우 업종별 보험요율이 다르니 첨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대보험 가입 안해주는 사업주에게 생기는 불이익(4가지)

우리나라 4대보험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있습니다. 모두 근로자에게 생길지 모르는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조건에 해당될 경우 가입해야 할 의무가 사업주에게 있습니

cstick.dia-spoo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