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대보험2

4대보험 매월 납부금액 간단하게 계산하는 방법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에서는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곤 대부분 4대보험 가입의무가 있습니다. 이 경우 급여가 바뀌거나 직원을 새로 채용할 경우 4대보험을 얼마를 납부해야 하는지 헷갈리실 수 있는데 보험 요율과 함께 간단 계산법을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4대보험 보험료 요율 ○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월소득의 9%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부해야 하는데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4.5%씩 분담하여 납부하면 됩니다. 구분 보험료 사업주 근로자 월소득 월소득 X 9% 4.5% 4.5% 월소득 하한액은 35만원이고 상한액은 553만원으로 월소득이 하한액보다 적으면 35만원을 기준으로 적용하고, 553만원보다 많을 경우 553만원을 적용하면 됩니다. (2022년 7.1 기준) ○ 건강보험 건강보험료는 건강보험과 장기요.. 2023. 6. 2.
4대보험 가입 안해주는 사업주에게 생기는 불이익(4가지) 우리나라 4대보험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있습니다. 모두 근로자에게 생길지 모르는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조건에 해당될 경우 가입해야 할 의무가 사업주에게 있습니다. 하지만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럴 경우 사업주에게 발생하는 불이익 4가지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보험료 강제 소급 적용 4대보험 가입의 의무는 사업주에게 있습니다. 근로자에게 4대 보험을 가입해줘야 하는 의무가 있는 사업장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가입을 해주지 않다가 공단에 적발될 경우 사업장은 최대 3년분의 보험료를 소급 적용하여 강제 납부해야 됩니다. 또한 이 경우 사업주 보험료뿐만 아니라 근로자분 보험료도 사업주가 모두 부담해야 하며 이에 대한 가산세까지 부과됩니다. 사업장에서는 부담이.. 2023.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