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보험 납부금액1 4대보험 매월 납부금액 간단하게 계산하는 방법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에서는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곤 대부분 4대보험 가입의무가 있습니다. 이 경우 급여가 바뀌거나 직원을 새로 채용할 경우 4대보험을 얼마를 납부해야 하는지 헷갈리실 수 있는데 보험 요율과 함께 간단 계산법을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4대보험 보험료 요율 ○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월소득의 9%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부해야 하는데 사업주와 근로자가 각각 4.5%씩 분담하여 납부하면 됩니다. 구분 보험료 사업주 근로자 월소득 월소득 X 9% 4.5% 4.5% 월소득 하한액은 35만원이고 상한액은 553만원으로 월소득이 하한액보다 적으면 35만원을 기준으로 적용하고, 553만원보다 많을 경우 553만원을 적용하면 됩니다. (2022년 7.1 기준) ○ 건강보험 건강보험료는 건강보험과 장기요.. 2023. 6. 2. 이전 1 다음